내가 중학교 다닐 때 일주일에 한 권 정도 책을 샀었던 것 같다.
본가에 쌓여 있는 책들을 보면 대부분 그때 산 책들.
중학생 용돈이 얼마나 됐겠는가 마는 군것질 조금 줄이면, 책 한 권 살 돈이 됐다.
시집 종류는 2천원이면 살 수 있었고, 신국판에 빽빽한 자간, 작은 글씨의 소설, 수필집도 5천원을 넘기지 않았다.
서정윤 시인의 홀로서기 시리즈 열풍에, 도종환 시인의 접시꽃 당신, 이해인 수녀님의 주옥같은 시집들.
그 시대가 얼마나 '시'에 열광했었는지, 도종환 시인의 이야기는 영화까지 제작되지 않았는가.
어쨌든, 시집이 300만부씩 팔리는 게 가능한 시대였다.
(시절이 암울해서 사람들이 아름답고 서정적인 것을 찾아서 그런지도 모른다.)
칼릴지브란의 '예언자'와 라즈니쉬의 '이 시대의 새벽빛이었던 그는'
미카엘 엔데의 '모모' , 알퐁스 도데의 '꼬마 철학자'
조반니 과레스키의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 장자끄 상페의 '꼬마 니콜라'
그다지 공감은 가지 않았던 13과 3/4세라는 녀석의 '비밀일기'
유행이라고 하기는 좀 뭣하지만, '꽃들에게 희망을' '아낌없이 주는 나무' 같은 책이 팔리던 시대였다.
아직 저작권이라는 개념도 없이 해적판이 판치고, 그게 해적판인지 자각하지 못하던 시절이기도 했었다.
('아이들이 심판한 나라'라는 책을 중학교 3학년때 읽고 굉장히 감명을 받았었는데, 나중에 '앵무새죽이기'와 같은 내용이어서 당황했었다. --;)
어쨌든, 그 때는 그냥 길 가다가 생각나면 서점에 들르고, 둘러보고 책이 마음에 들면 한 권 사들고 와서 밤새 읽고...그런 것이 가능했다.
또 서점마다 자기네 서점만의 포장 종이가 있어서 책을 사면 책꺼풀을 입혀서 줬었다. 그래서 포장 종이가 마음에 든 몇 군데 서점을 자주 이용하기도 했다. 요즘엔 이렇게 해주는 곳이 단 한 곳도 없다. OTL
사람들이 책을 사지 않게 된 건 언제부터 였을까.
대여점이 생긴 다음부터? 아니면 인터넷이 활성화 된 다음?
하나 둘 사라져간 동네 서점 대신에 지금은 인터넷 서점을 애용하고 있지만, 가끔은 그런 오프라인의 정서가 그립다.
본가에 쌓여 있는 책들을 보면 대부분 그때 산 책들.
중학생 용돈이 얼마나 됐겠는가 마는 군것질 조금 줄이면, 책 한 권 살 돈이 됐다.
시집 종류는 2천원이면 살 수 있었고, 신국판에 빽빽한 자간, 작은 글씨의 소설, 수필집도 5천원을 넘기지 않았다.
서정윤 시인의 홀로서기 시리즈 열풍에, 도종환 시인의 접시꽃 당신, 이해인 수녀님의 주옥같은 시집들.
그 시대가 얼마나 '시'에 열광했었는지, 도종환 시인의 이야기는 영화까지 제작되지 않았는가.
어쨌든, 시집이 300만부씩 팔리는 게 가능한 시대였다.
(시절이 암울해서 사람들이 아름답고 서정적인 것을 찾아서 그런지도 모른다.)
칼릴지브란의 '예언자'와 라즈니쉬의 '이 시대의 새벽빛이었던 그는'
미카엘 엔데의 '모모' , 알퐁스 도데의 '꼬마 철학자'
조반니 과레스키의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 장자끄 상페의 '꼬마 니콜라'
그다지 공감은 가지 않았던 13과 3/4세라는 녀석의 '비밀일기'
유행이라고 하기는 좀 뭣하지만, '꽃들에게 희망을' '아낌없이 주는 나무' 같은 책이 팔리던 시대였다.
아직 저작권이라는 개념도 없이 해적판이 판치고, 그게 해적판인지 자각하지 못하던 시절이기도 했었다.
('아이들이 심판한 나라'라는 책을 중학교 3학년때 읽고 굉장히 감명을 받았었는데, 나중에 '앵무새죽이기'와 같은 내용이어서 당황했었다. --;)
어쨌든, 그 때는 그냥 길 가다가 생각나면 서점에 들르고, 둘러보고 책이 마음에 들면 한 권 사들고 와서 밤새 읽고...그런 것이 가능했다.
또 서점마다 자기네 서점만의 포장 종이가 있어서 책을 사면 책꺼풀을 입혀서 줬었다. 그래서 포장 종이가 마음에 든 몇 군데 서점을 자주 이용하기도 했다. 요즘엔 이렇게 해주는 곳이 단 한 곳도 없다. OTL
사람들이 책을 사지 않게 된 건 언제부터 였을까.
대여점이 생긴 다음부터? 아니면 인터넷이 활성화 된 다음?
하나 둘 사라져간 동네 서점 대신에 지금은 인터넷 서점을 애용하고 있지만, 가끔은 그런 오프라인의 정서가 그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