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의 신곡 (2014~2015 국립극장레퍼토리시즌)

일   시 : 2014. 10. 31 ~ 2014. 11. 08
장   소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관극일 : 2014. 11. 05 (수) 20:00
원   작 : 단테 알리기에리, <La Divina Commedia di Dante Alighieri>
제작진 : 연   출 - 한태숙, 재창작 - 고연옥, 음악감독 - 이태원, 홍정의, 무대디자인 - 이태섭, 조명디자인 - 김창기, 음향디자인 - 김호성, 음향효과디자인 - 지미세르, 의상디자인 - 김우성 외
캐스트 : 단테 - 지현준, 베르길리우스 - 정동환, 미노스 - 김금미, 베아트리체 - 김미진, 프란체스카/사피아 - 박정자, 카론/천사 - 이시웅, 하드리아/로메오 - 최원석, 우골리노/천사 - 오승용, 루키페르/천사 - 김인휘, 파울로/마르코 - 박종태, 단테 내면/늙은 단테 - 김은석, 대장마귀 - 서정금, 미라 - 남궁혜윤 외
줄거리 :
살아서 지옥을 견디는 사나이의 이야기
삶의 한 가운데서 길을 잃은 단테는 어두운 숲 속에서 만난 시인 베르길리우스의 안내로 평생을 그리워했던 연인 베아트리체를 찾기 위한 여정에 오른다. 깊은 어둠 속에서 “이곳에 들어오는 자, 모든 희망을 버려라!”라는 노래와 함께 지옥의 문이 열리고, 죽은 영혼들을 지옥의 심판대에 실어가기 위해 지옥의 뱃사공 카론이 다가온다. 카론은 아직 살아있는 육신을 가진 단테를 배에 태울 수 없다고 거부하지만, 저 높은 곳에서 자신을 기다리는 한 여인을 만나야 한다는 단테의 간청을 받아들인다. 지옥의 심판대에는 괴물 형상을 한 지옥의 판관 미노스가 죄인들의 몸에 자신의 꼬리를 휘감으며 그들의 죄를 심판한다. 미노스는 지옥을 지나려는 단테에게 인간이란 살아서도 죽어서도 심판을 피할 수 없다고 경고하는데, 단테는 지옥에 떨어질 정도로 죄지은 일이 없다고 자신하는데... [출처 > 플레이DB]

* 한 줄 요약 - 대극장 연극이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것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 대해서는 그저 광활하다는 인상. 그리고 앞자리의 역단차. 도대체 극장 설계를 누가 했는지원, 1,2열 피해가도 착시효과에 의한 역단차 현상은 여전하다.
초연은 보지 못했고, 해서 이 넓디 넓은 대극장에서 과연 어떤 연극을 보여줄 것인가, 배우들은 생목소리로 연기할 것인가 궁금증을 안고 갔다. 결론적으로 그 큰 대극장에서 생목소리는 무리이며, 배우와 관객 모두를 위해 마이크를 사용했는데, 현명한 선택이었다.
(같은 대극장이라도 규모가 좀 작은 엘지 아트센터에서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를 봤을 땐, 배우들이 그 넓은 대극장을 생목소리로 채우느라 다들 목이 가서 나중엔 쇳소리밖에 안났던 슬픈 기억이 ㅠ.ㅠ)

- 단테의 신곡을 읽어 본 적이 없다. 다이제스트는 읽어봤지만; 그 길고 방대한 원작은 항상 지옥편 초입에서 읽다 포기하기 일쑤여서. 대략의 내용만 파악하고 갔는데(인터넷은 참 좋아;) 이 복잡하고 방대한 분량의 원작을 참으로 효율적으로 쉽게 이해시키는 연극이라는 점이 대단했다.

- 누누히 얘기하지만, 저 광활한 해오름 극장의 깊이감을 충분히 살린 경사 무대로 상승과 하강의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오케스트라의 라이브 연주와 소름끼치는 음향 효과. 내가 한태숙 연출에게 감탄하는 것 중 하나가 탁월한 음향 효과의 사용인데, 이번 단테의 신곡에서도 정말 굉장했다. 특히 우골리노가 손자를 잡아먹을 때의 그 까드득 까드득 하는 효과음은 얼마나 공포스럽던지.

창극과 뮤지컬과 오페라를 넘나드는 연출도 정말 좋았다. 지옥도의 다양한 면을 그렇게 보여주는 듯해서. 특히 오페라 가수를 캐스팅한 듯한 우골리노, 루키페르가 등장하는 장면은 딱 오페라 씬 그 자체였다. 특히 루키페르의 솔로는 돈 죠반니의 석상을 보는 듯했다. 우골리노의 복수와 증오에 찬 절규 가득한 바리톤의 울림 또한 어찌나 멋지던지. 인간이 인간이기를 포기하는 순간의 그 광기와 온몸을 불태울 듯한 복수심이 전율을 일으킨다. 그러면서 생각하는 거지, 신은 어디에 있는가.

- 1막이 지옥편, 2막이 연옥과 천국편인데, 지옥편이 아무래도 보여줄 수 있는 스펙터클함이 넘치다 보니, 2막이 좀 심심한 느낌이다. 그래도 기울어진 유리벽으로 표현한 연옥은 시각적으로 영상미가 느껴지는 장면이었다. 마치 영화를 보는 것 같다고 할까. '내 죄를 내가 압니다.' 지은 죄의 경중을 떠나 연옥과 지옥의 차이는 그거다. 지옥에 갖혀있는 자들은 자신이 지은 죄를 반성할 줄 모르고, 연옥에 있는 자들은 적어도 자신이 지은 죄가 뭔지 알고 그걸 반성한다는 것. 그들은 산자들의 기도를 통해 연옥에서 보내는 날이 줄어드는데, 이 대목에서 신부님이 식사 전 기도만 하지말고, 식사 후 기도[각주:1]도 반드시 하라고 하셨던 말씀이 떠올랐다.

- 천국편은 좀 싱거웠다고 할까. 나처럼 속물적인 사람은 천국은 뭔가 더 좋고 아름답고 그래야할 것 같은데, 단지 고통이 없는 평화로운 상태. 하기는 천국의 모습을 누가 알겠는가. 지옥이나 연옥이나 지상에 펼쳐진 인간 군상의 모습과 다를 바 없으니 크게 상상력을 필요로 하지도 않겠지만, 천국이야말로 상상도 할 수 없는 곳이니.

- 배우들 얘기를 해보면, 지현준 씨의 재발견. 이렇게 훌륭한 배우였던가! 몸을 쓰는 것부터 사소한 손 짓, 눈빛도 예사롭지 않았다. (아니, 근데 JCS에선 왜 그러셨어요;;) 정말 대단한 연기력이며 연습량이 보이는 신체의 움직임이 극을 더 풍성하게 만들어줬다.
베르길리우스의 정동환 씨는 워낙 베테랑이기도 하지만, 다른 이에겐 천국을 보여주고, 자신은 볍씨만한 믿음이 없어 지옥으로 떨어진 시인 베르길리우스를 고스란히 무대 위에 재현해주셨다.
애욕의 화신 프란체스카와 질투에 눈이 먼(비유적인 표현이 아니라 실제로) 사피아 역의 박정자 씨 역시 연륜이 묻어나오는 포스를 보여주셔서 감격. 난 이렇게 묵직한 울림 있는 연기를 보여주시는 원로 배우분들이 정말 오래도록 건강을 유지하셔서 무대에 오르시길 간절히 바란다.
그 외에 다양한 지옥의 아귀들, 인간 군상을 연기한 배우들의 연기도 훌륭했는데, 딱 한 명 제 몫을 못한 이를 꼽자면 베아트리체 역의 김미진 씨. 단테의 이상의 여인이며, 천상의 지고한 곳에 머무는 베아트리체가 그렇게 무미건조한 여인이 아닐텐데 말입니다. 너무 아쉬웠다.

+ 내 이름은 단테, 지옥을 견디는 자입니다.

이거 사실은 굉장히 중요한 대사인데, 난 뜬금없이 러닝맨 특유의 그 '시간을 멈추는 자~' 뭐 이런 게 생각나서 혼자 뿜을 뻔 했다.ㅋㅋㅋㅋㅋ


  1. 식사 후 기도 - 전능하신 하느님 / 저희에게 베풀어주신 모든 은혜에 감사하나이다 / 아멘 / 주님의 이름은 찬미를 받으소서 / 이제와 영원히 받으소서 / 세상을 떠난 모든 이가 / 하느님의 자비로 평화의 안식을 얻게 하소서 / 아멘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