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LET
일 시 : 2011. 10 .20 ~ 2011. 12. 17
장 소 : 유니버설 아트센터
관극일 : 2011. 11. 05 (토) 15:00
음악 / 대본 : 야넥 레데츠키 , 원작자 : W.셰익스피어
연 출 : 로버트 요한슨, 음악감독 : 원미솔
캐스트 : 햄릿 - 박은태, 오필리어 - 윤공주, 레어티스 - 강태을, 거트루트 - 신영숙, 클로디우스 - 서범석, 폴로니우스 - 김성기
- 자잘한 음향, 무대 사고가 있었지만, 오늘도 뮤지컬 햄릿은 한 단계 더 성장했다. 그것은 은릿 뿐만 아니라, 다른 출연배우분들 모두에 해당하는 말이다. 오늘은 어떤 배역의 분들이라도 별 불만이 생기지 않을 정도.
거트루트의 제일 중요한 솔로곡인 'I'm untrue'에서 마이크 늦게 나오고 하는 정도로는 대세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공연이 좋았다. 무대 소품 사고는 좀 쓰릴했지만, 배우분들이 당황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넘어가줘서 다행이라고 할까.
그래도 무대 스텝, 콘솔, 오케스트라는 반성회라도 가집시다. -_-`
그리고 오늘 2층에는 학생들 단관이라도 왔는지, 1막, 2막 시작할 때 그런 박수와 환호로 시작하는 건 처음 해보는 경험이었다. 그리고 반응들도 무슨 콘서트 수준이라 공연하는 배우들은 신나셨을 것도 같고, 커튼콜 때도 반응이 정말 장난아니었다. 무려 '앵콜'을 연호하더라는; 은태가 가르치는 학생들이었을까나. 그렇다면 쌤의 베드씬;, 반라;를 보고 어떤 생각들을 했으려나.
- 김성기 폴로니우스. 뭉개지는 딕션따위 외치게 하는 그루브감과 그 특유의 삘~ 로 극을 이끌어가시지만, 가사를 까먹는다던가 하는 건 좀; 어쩌다 이번주 내내 강레어, 서클로, 김성기 폴로니우스인데, 가사 안 씹으신 날이 없으셨습니다. 그래도 워낙 이게 연기인지, 평소 모습인지 싶은 자연스러운 모습과 그 특유의 그루브감 때문에 용서가 되십니다만, 좀만 더 집중해주셨으면 좋겠다.
오늘 무덤지기 씬에서는 학생 단관의 영향인지, 개그 포인트마다 어찌나 빵빵 터져주시는지. 모짜렐라 드립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분명히 죽었는데..'라니, 아아~ 진짜, 똑같은 개그 포인트로 공연 반복하는 거 나중엔 반응 싸한 거 아냐 했더니, 매회 애드립을 이렇게 추가하시긴가요. 하여간 오늘은 객석 반응까지 빵빵 터져서 씐나씐나 모드가 평소의 2배는 됐던거 같다. 그래서 이어지는 오필리어의 장례식이 더 큰 비극으로 다가왔지. 그런데, 진짜 씐나씐나 모드에서 그렇게 급 애절한 감정선으로 너를 울게만 했던 나를 용서하라며 따라죽겠다는 은릿은 또 깜짝 놀랄만큼 오필리어의 죽음을 슬퍼하고 있더라. 이제껏 본 중에 오늘 제일 슬퍼했던 듯.
- 오필리어 윤공주 씨. 노래도 참 잘하시고, 연기도 잘하는 배우라고 생각하지만, 오필리어라는 역할에 잘 어울리냐 하면 좀 넘치는 배우라고 생각한다. 역대 오필리어는 신인 여배우들을 주로 캐스팅해왔고, 역의 비중으로 보나, 보여줘야할 풋풋함을 생각했을 때, 윤공주 배우는 배역에 비해 넘치는 캐스팅이었고, 또 그 넘치는 연기가 살짝 부담스러웠던 것도 사실. 그래서 얼터인 이정화 배우의 오필리어가 나 한테 더 잘 맞았었다.
그런데, 오늘 2막에서 실성한 오필리어가 등장하는 씬에서 아, 정말로 미친 게 아니라 미친 척 하는구나...하는 느낌이 들었다. 오늘의 오필리어는 차라리 미쳐버리고 싶었지만, 미칠 수가 없었던 거다. 그래서 미친 척이라도 할 수 밖에 없는 그런 오필리어를 보는 느낌이었다. 레어티스를 안아주면서 눈물이 또르르 떨어지는데, 그게 오필리어의 현재 심경처럼 보이는 게, 그녀의 처지가 참으로 불쌍하고, 연민의 감정이 더 깊이 생기는 것 같더라. 오랜만에 햄릿 개객끼!
- 강태을 레어티스는 하얀 코트보다 검을 코트를 입었을 때가 더 멋있는 거 같다. 동석이는 하얀 코트를 입었을 때 누구보다 빛나더니만, 태을 레어티스는 하얀색 코트보다 검은 코트를 입었을 때의 모습이 그 분위기와 함께 더 잘 어울리더라. 그래서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돌아오는 씬에서 태을 레어티스는 검은 코트를 입혀줬으면 좋겠다. 그 장면에서 다른 사람은 다들 상복을 입고있는데, 레어티스 혼자만 흰 옷을 입고 있는 것도 좀 그렇고.
하여간 내가 동레어 강레어 반반 섞으면 딱 이상적인 레어티스일 거라고 했는데, 강레어가 슬슬 열기가 올라가고 있어서, 오늘은 정말 좋았다. 분노하며 내지르는 포효는 아직 좀 오그라들기는 하지만, 노래도 이젠 목이 풀린 것 같고, 연기도 냉정함에 뜨거운 분노를 끼얹어서 적정선을 보여줘서 좋았다. 그런데, 오늘 오필리어 장례식 장면에서 검은 코트 안 입고, 그냥 검은 셔츠 바람으로 등장해서 아쉬웠다. 의상 담당이 까먹었을까나.
태을 레어티스는 햄릿과의 칼싸움 장면에서 정말 둘이 불꽃이 튀는 듯 해서 긴장해서 지켜보는데, 오늘 범사마께서 대사를 한 타이밍 늦게 들어가는 바람에 같은 동선으로 한 번 더 칼싸움을 해야해서 햄릿한테 같은 자리를 두 번 맞았지.
- 범사마님은 오늘도 찬양. 햄릿과 레어티스의 결투씬에서 한 타이밍 대사가 늦으신 걸 빼고; Chapel에서 보여주시는 클로디어스는 거트루트를 사랑해서 형을 죽였지만, 그렇게 형을 죽이고 얻은 왕관이라도 자신은 어떻게든 훌륭한 왕이 되보고 싶었는데, 햄릿이 사사건건 어깃장을 놓는데다, 연극을 통해 들춰낸 진실에 두려워하는 모습이 잘 나타나, 찌질한 악역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 오늘 대박 사건은 햄릿이 거트루트의 침실을 찾아와서 행패를 부리는 장면에서, 폴로니우스가 커튼 뒤에 숨어서 지켜본다고 하는데, 세상에 그 커튼이 떨어져버린거다. 정말 순간적으로 놀라서 육성으로 헉소리가 나올 정도였는데, 김성기 씨가 그 커튼을 어떻게든 뒤집어 쓰고 한 쪽 구석에 숨더라. 순간적으로 당황했을 배우들이 그래도 최대한 티 안나게 극을 이끌어가서 조마조마한 가슴을 쓸어내렸지만, 참 이런 결정적인 장면의 결정적인 소품이 말썽을 일으키다니. 뭐, 이런 것도 레어템이라면 레어템이긴 하지만, 이런 실수가 반복되지 않게 잘 하쇼.
- 은릿은 공연을 거듭해가면서 연기의 디테일 만큼이나 노래의 디테일도 늘어나고 있다. 송쓰루 뮤지컬이다보니, 정말 오만가지 대사로 처리할 것을 다 노래로 불러야하는데, 그걸 자연스럽게 노래에 연기를 녹여내고, 감정을 담고, 세세하게 표정 연기를 하듯이 한 소절 안에서도 발성법을 바꿔가며 세세하게 불러서, 넘버 하나마다 드라마를 만들어내는 그 능력에 닥치고 경배. 정말 연구를 많이 하고, 노력을 많이 했구나 하는 게 느껴진다.
특히 2막 처음 시작 부분의 사느냐, 죽느냐 넘버에서는 한 소절 안에서도 창법이 바뀌고, 리듬을 쪼개어 감정을 싣는데, 노래에 그런 디테일을 살리는 건 진짜 얼마나 파고들어야 가능한 걸까. 참 감탄스럽다.
세세한 감정 표현 뿐만 아니라, 감정을 폭발시키고, 공연장 지붕을 날려버릴 정도의 성량도 갖췄다는 게 또 대단하다. 언제 이렇게 에너지를 축적했을까. 미성인 목소리가 가진 한계가 있을텐데, 지를 때는 또 확실하게 긴 호흡으로 울림이 풍부한 후음을 쭉 뽑아내는데, 어떻게 하면 고음에서 갈라지지도 않고 저런 선명한 소리를 그 성량으로 낼 수 있는지 참.
- 커튼콜에서 동레어는 오필리어를 다시 데려가지 않는데, 강레어는 이제 공주님 안기로 노선을 정했는가보다. 오늘은 얼마나 격하게 안아드는지 윤공주 배우의 머리가 성문에 살짝 부딪혀서 머리에 쓴 화관이 떨어질 뻔했다. 애정과시도 정도껏ㅋㅋㅋ 그리고 커튼콜의 열렬한 반응에 호응하듯 은릿의 리액션도 큼직큼직. 진짜 이 커튼콜 보고나면, 햄릿이 이렇게 재미있는 비극이었나 싶다니까.
일 시 : 2011. 10 .20 ~ 2011. 12. 17
장 소 : 유니버설 아트센터
관극일 : 2011. 11. 05 (토) 15:00
음악 / 대본 : 야넥 레데츠키 , 원작자 : W.셰익스피어
연 출 : 로버트 요한슨, 음악감독 : 원미솔
캐스트 : 햄릿 - 박은태, 오필리어 - 윤공주, 레어티스 - 강태을, 거트루트 - 신영숙, 클로디우스 - 서범석, 폴로니우스 - 김성기
- 자잘한 음향, 무대 사고가 있었지만, 오늘도 뮤지컬 햄릿은 한 단계 더 성장했다. 그것은 은릿 뿐만 아니라, 다른 출연배우분들 모두에 해당하는 말이다. 오늘은 어떤 배역의 분들이라도 별 불만이 생기지 않을 정도.
거트루트의 제일 중요한 솔로곡인 'I'm untrue'에서 마이크 늦게 나오고 하는 정도로는 대세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공연이 좋았다. 무대 소품 사고는 좀 쓰릴했지만, 배우분들이 당황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넘어가줘서 다행이라고 할까.
그래도 무대 스텝, 콘솔, 오케스트라는 반성회라도 가집시다. -_-`
그리고 오늘 2층에는 학생들 단관이라도 왔는지, 1막, 2막 시작할 때 그런 박수와 환호로 시작하는 건 처음 해보는 경험이었다. 그리고 반응들도 무슨 콘서트 수준이라 공연하는 배우들은 신나셨을 것도 같고, 커튼콜 때도 반응이 정말 장난아니었다. 무려 '앵콜'을 연호하더라는; 은태가 가르치는 학생들이었을까나. 그렇다면 쌤의 베드씬;, 반라;를 보고 어떤 생각들을 했으려나.
- 김성기 폴로니우스. 뭉개지는 딕션따위 외치게 하는 그루브감과 그 특유의 삘~ 로 극을 이끌어가시지만, 가사를 까먹는다던가 하는 건 좀; 어쩌다 이번주 내내 강레어, 서클로, 김성기 폴로니우스인데, 가사 안 씹으신 날이 없으셨습니다. 그래도 워낙 이게 연기인지, 평소 모습인지 싶은 자연스러운 모습과 그 특유의 그루브감 때문에 용서가 되십니다만, 좀만 더 집중해주셨으면 좋겠다.
오늘 무덤지기 씬에서는 학생 단관의 영향인지, 개그 포인트마다 어찌나 빵빵 터져주시는지. 모짜렐라 드립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분명히 죽었는데..'라니, 아아~ 진짜, 똑같은 개그 포인트로 공연 반복하는 거 나중엔 반응 싸한 거 아냐 했더니, 매회 애드립을 이렇게 추가하시긴가요. 하여간 오늘은 객석 반응까지 빵빵 터져서 씐나씐나 모드가 평소의 2배는 됐던거 같다. 그래서 이어지는 오필리어의 장례식이 더 큰 비극으로 다가왔지. 그런데, 진짜 씐나씐나 모드에서 그렇게 급 애절한 감정선으로 너를 울게만 했던 나를 용서하라며 따라죽겠다는 은릿은 또 깜짝 놀랄만큼 오필리어의 죽음을 슬퍼하고 있더라. 이제껏 본 중에 오늘 제일 슬퍼했던 듯.
- 오필리어 윤공주 씨. 노래도 참 잘하시고, 연기도 잘하는 배우라고 생각하지만, 오필리어라는 역할에 잘 어울리냐 하면 좀 넘치는 배우라고 생각한다. 역대 오필리어는 신인 여배우들을 주로 캐스팅해왔고, 역의 비중으로 보나, 보여줘야할 풋풋함을 생각했을 때, 윤공주 배우는 배역에 비해 넘치는 캐스팅이었고, 또 그 넘치는 연기가 살짝 부담스러웠던 것도 사실. 그래서 얼터인 이정화 배우의 오필리어가 나 한테 더 잘 맞았었다.
그런데, 오늘 2막에서 실성한 오필리어가 등장하는 씬에서 아, 정말로 미친 게 아니라 미친 척 하는구나...하는 느낌이 들었다. 오늘의 오필리어는 차라리 미쳐버리고 싶었지만, 미칠 수가 없었던 거다. 그래서 미친 척이라도 할 수 밖에 없는 그런 오필리어를 보는 느낌이었다. 레어티스를 안아주면서 눈물이 또르르 떨어지는데, 그게 오필리어의 현재 심경처럼 보이는 게, 그녀의 처지가 참으로 불쌍하고, 연민의 감정이 더 깊이 생기는 것 같더라. 오랜만에 햄릿 개객끼!
- 강태을 레어티스는 하얀 코트보다 검을 코트를 입었을 때가 더 멋있는 거 같다. 동석이는 하얀 코트를 입었을 때 누구보다 빛나더니만, 태을 레어티스는 하얀색 코트보다 검은 코트를 입었을 때의 모습이 그 분위기와 함께 더 잘 어울리더라. 그래서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돌아오는 씬에서 태을 레어티스는 검은 코트를 입혀줬으면 좋겠다. 그 장면에서 다른 사람은 다들 상복을 입고있는데, 레어티스 혼자만 흰 옷을 입고 있는 것도 좀 그렇고.
하여간 내가 동레어 강레어 반반 섞으면 딱 이상적인 레어티스일 거라고 했는데, 강레어가 슬슬 열기가 올라가고 있어서, 오늘은 정말 좋았다. 분노하며 내지르는 포효는 아직 좀 오그라들기는 하지만, 노래도 이젠 목이 풀린 것 같고, 연기도 냉정함에 뜨거운 분노를 끼얹어서 적정선을 보여줘서 좋았다. 그런데, 오늘 오필리어 장례식 장면에서 검은 코트 안 입고, 그냥 검은 셔츠 바람으로 등장해서 아쉬웠다. 의상 담당이 까먹었을까나.
태을 레어티스는 햄릿과의 칼싸움 장면에서 정말 둘이 불꽃이 튀는 듯 해서 긴장해서 지켜보는데, 오늘 범사마께서 대사를 한 타이밍 늦게 들어가는 바람에 같은 동선으로 한 번 더 칼싸움을 해야해서 햄릿한테 같은 자리를 두 번 맞았지.
- 범사마님은 오늘도 찬양. 햄릿과 레어티스의 결투씬에서 한 타이밍 대사가 늦으신 걸 빼고; Chapel에서 보여주시는 클로디어스는 거트루트를 사랑해서 형을 죽였지만, 그렇게 형을 죽이고 얻은 왕관이라도 자신은 어떻게든 훌륭한 왕이 되보고 싶었는데, 햄릿이 사사건건 어깃장을 놓는데다, 연극을 통해 들춰낸 진실에 두려워하는 모습이 잘 나타나, 찌질한 악역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 오늘 대박 사건은 햄릿이 거트루트의 침실을 찾아와서 행패를 부리는 장면에서, 폴로니우스가 커튼 뒤에 숨어서 지켜본다고 하는데, 세상에 그 커튼이 떨어져버린거다. 정말 순간적으로 놀라서 육성으로 헉소리가 나올 정도였는데, 김성기 씨가 그 커튼을 어떻게든 뒤집어 쓰고 한 쪽 구석에 숨더라. 순간적으로 당황했을 배우들이 그래도 최대한 티 안나게 극을 이끌어가서 조마조마한 가슴을 쓸어내렸지만, 참 이런 결정적인 장면의 결정적인 소품이 말썽을 일으키다니. 뭐, 이런 것도 레어템이라면 레어템이긴 하지만, 이런 실수가 반복되지 않게 잘 하쇼.
- 은릿은 공연을 거듭해가면서 연기의 디테일 만큼이나 노래의 디테일도 늘어나고 있다. 송쓰루 뮤지컬이다보니, 정말 오만가지 대사로 처리할 것을 다 노래로 불러야하는데, 그걸 자연스럽게 노래에 연기를 녹여내고, 감정을 담고, 세세하게 표정 연기를 하듯이 한 소절 안에서도 발성법을 바꿔가며 세세하게 불러서, 넘버 하나마다 드라마를 만들어내는 그 능력에 닥치고 경배. 정말 연구를 많이 하고, 노력을 많이 했구나 하는 게 느껴진다.
특히 2막 처음 시작 부분의 사느냐, 죽느냐 넘버에서는 한 소절 안에서도 창법이 바뀌고, 리듬을 쪼개어 감정을 싣는데, 노래에 그런 디테일을 살리는 건 진짜 얼마나 파고들어야 가능한 걸까. 참 감탄스럽다.
세세한 감정 표현 뿐만 아니라, 감정을 폭발시키고, 공연장 지붕을 날려버릴 정도의 성량도 갖췄다는 게 또 대단하다. 언제 이렇게 에너지를 축적했을까. 미성인 목소리가 가진 한계가 있을텐데, 지를 때는 또 확실하게 긴 호흡으로 울림이 풍부한 후음을 쭉 뽑아내는데, 어떻게 하면 고음에서 갈라지지도 않고 저런 선명한 소리를 그 성량으로 낼 수 있는지 참.
- 커튼콜에서 동레어는 오필리어를 다시 데려가지 않는데, 강레어는 이제 공주님 안기로 노선을 정했는가보다. 오늘은 얼마나 격하게 안아드는지 윤공주 배우의 머리가 성문에 살짝 부딪혀서 머리에 쓴 화관이 떨어질 뻔했다. 애정과시도 정도껏ㅋㅋㅋ 그리고 커튼콜의 열렬한 반응에 호응하듯 은릿의 리액션도 큼직큼직. 진짜 이 커튼콜 보고나면, 햄릿이 이렇게 재미있는 비극이었나 싶다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