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른 날에'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2.04.25 12. 04. 24 - 푸르른 날에
푸르른 날에

일   시 : 2012. 04. 21 ~ 2012. 05. 20
장   소 :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관극일 : 2012. 04. 24(화) 20:00
연   출 : 고선웅, 원작 : 정경진
캐스트 : 여산 - 김학산, 현재의 정혜 - 정재은, 과거의 정혜 - 조윤미, 오민호 - 이명행, 오진호 - 박윤희, 일정 - 이영석, 이상무 - 장성익, 윤기준 - 조영규, 오운화 - 최광희, 아이 외 - 홍의준
줄거리 :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오민호는 사랑하던 연인 윤정혜가 임신한 사실도 모른 채 이별한다. 도청에서 시민군으로 저항하던 민호는 투항하여 살아남지만 동료들을 계엄사에 밀고했다는 죄책감으로 환각에 시달린다. 배 다른 형 진호와 정혜의 애틋한 배려를 뿌리치고 행려자가 되어 떠돌던 민호는 해남에서 일정스님을 만나 불가에 귀의한다. 민호와 정혜 사이에서 태어난 딸 운화가 성년이 되어 어느 덧 결혼을 하게 되고 민호와 정혜는 중년이 되어 스님과 보살의 관계로 식장에서 만난다. 비로소 용서하고 화해하는 두 사람. 민호는 마음의 짐을 털며 니르바나의 환희를 느낀다. [출처 > 플레이DB]

- 극장을 나서고 뜨뜻미지근한 밤바람을 맞으며 버스를 타러 가는 길에, 그런 일을 겪고서도 우리는 웃을 수 있고, 사랑을 하고, 계속 살아가는구나 싶어서 갑자기 눈물이 왈칵 쏟아져 나왔다.

- 광주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연극이라는 것만 알고 갔다. 일부러 사전에 시놉도 읽지 않고 갔다. 보고 나와서는 다시 한 번 그러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사전에 내용을 미리 알고 갔더라면, 그렇게 집중해서 보지도 못했을 거 같고, 그렇게 무방비하게 칼을 맞지도 않았을 테지.

참 영리한 연출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어려운 이야기, 슬픈 이야기, 처참한 이야기도 아니라니까요? 사람 사는 건 언제 어느 시절이나 다 똑같아요. 그냥 그때 그런 끔찍한 일도 있었어요~ 라면서 쓴웃음 지으며 아무렇지 않게 심장을 손가락으로 콕 쑤신다. 

고선웅 연출은 차마 울릴 수 없어서 웃기기로 했는가 보다. 그리고 그의 이런 연출이 아니었다면 끝까지 시선을 돌리지 않고 극을 지켜보기 어려웠을 것이다. 문어체의 대사를 속사포처럼 쏘아대며 변사처럼 연기하는 배우들과 비장한 각오를 다지면서도 본능적인 두려움에 떨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 외치는 구령이 Paul Anka의 'Diana'라는 기묘하게 명랑한 장면들 덕에 한발 물러서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녹록지 않은 이 극은 나를 끝내 관망자가 아닌 공범자로 몰아세우더라. 아마도 이 부채의식은 절대 사라지지 않겠지.

- 극의 또 다른 주인공은 故 김남주 시인의 시들, 그리고 Pink Floyd의 'Another Brick In The Wall', 송창식의 '푸르른 날',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오월의 노래'를 비롯한 음악들이다.

詩라는 것이 이토록 무서운 것이구나 하는 걸 보여주는 배우들이 저마다 외치는 故 김남주 시인의 학살2는 전율이었다. 시인보다 전사, 투사라는 말이 어울리는 시인의 날카로운 칼날 같은 시구들이 가슴을 서걱서걱 베어 나가는 듯했다.

오월 어느 날이었다
1980년 오월 어느 날이었다
광주 1980년 오월 어느 날 밤이었다

밤 12시
하늘은 핏빛의 붉은 천이었다
밤 12시
거리는 한 집 건너 울지 않는 집이 없었고
무등산은 그 옷자락을 말아올려 얼굴을 가려 버렸다
밤 12시
영산강은 그 호흡을 멈추고 숨을 거둬 버렸다
아 게르니카의 학살도 이렇게 처참하지 않았으리
아 악마의 음모도 이렇게는 치밀하지 못했으리

                                                             - 故 김남주 시인 학살 2 中

시를 다 읊고 나서 Pink Floyd의 'Another Brick In The Wall'에 맞춰서 군무를 추는데, 솔직히 나는 이 부분이 가장 뜨악했더랬다. 한껏 고조되었던 감정이 폭삭 꺼져버리는 듯한 감각. 왜 저 노래를 선택했는지 이런 건 다 이해가 가지만, 이 앞에서 시 낭독만으로도 절정을 치고 올라갔던 감정이 그대로 식어버리더라.

- 배우들 얘기를 하자면, 오민호 역의 이명행 씨가 단연 인상에 남는다. 공연 내내 정말 고행하는 심정으로 연기하지 않았을까. 그리고 정혜. 이 사랑으로 뭉쳐진 것 같은 깊고도 순수한 애정이 한결같은 여인 정혜가 아니었다면 민호가 아무리 수행을 거듭한다 한들 그 지옥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을까. 역시 사랑이 세상을 구원한다.

사랑이여~ 내 사랑이여~
이전버튼 1 이전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