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오페라 락(Mozart L'Opera Rock)
일 시 : 2012. 03. 30 ~ 2012. 04. 29
장 소 :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관극일 : 2012. 04. 18 (수) 20:00
연 출 : 김재성, 음악감독 : 서유진
캐스트 : 모차르트 - 박한근, 살리에리 - 강태을, 콘스탄체 - 이해리, 알로이지아 - 최유하, 레오폴트 - 이기동, 난넬 - 홍륜희, 디바 - 허진아, 세실리아 - 최현선, 안나 마리아 - 장이주, 로젠베르크 - 성열석, 베버/요제프2세 - 장원령
- 사실은 이날 공연이 내 첫 모오락이 될 공연이었는데, 계획이란 소용없어~(feat.은케니)
- 지난 2번의 공연에서 레오폴트만 새로운 캐스트였는데, 이기동 씨의 레오폴트(이후 기동파파)는 일단 신파파에 비해서 진짜 평범하고 소시민이라는 느낌이 확 들었다. 신파파는 일단 비주얼에서 사기캐에 가까운 것도 있고, 그 흰머리 블리치가 어찌나 매력적이신지. '불가능을 생각해' 넘버에서 느껴지는 감정이 신파파가 콜로레도의 횡포에 분노를 느끼는 거라면, 기동파파는 좌절하고 있더라. 그래서 그런가 목소리에 힘이 하나도 없으셔서 난넬 목소리밖에 안 들리는 참사가; 그래서 이거 원래 난넬이 메인인 곡인가? 했다. 그런데다가 대사를 할 때도 기동파파는 상사 앞에서 비굴해지고, 자식 걱정에 노심초사하지만, 그 진심이 자식에게 전달되지는 않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런 불쌍한 아버지를 연기하고 있어서, 카리스마 넘치는 신파파와는 참 많이 대조되었다. 신파파가 권위적인 아버지라면 기동파파는 세파에 찌들어 너무 지쳐버린 아버지.
그리고 무엇보다 기동파파는 록넘버가 전혀 안 되시더라. OTL 신성우 씨가 전직(?) 록커 출신이라 레오폴트 넘버를 그래도 예상했던 것보다는 꽤 잘 소화를 해낸 것에 비하면, 그래도 뮤지컬 배우이신데, 어찌 그리 박자 감이 없으신가요; 가창력이 떨어지는 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록 비트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시는 듯. 어디서 치고 들어가야 하는지, 어디다 강세를 둬야 하는지 이런 게 안되니까 노래가 너무 밋밋해져 버렸다. 그나마 '불가능을 생각해'는 난넬이 커버해주지만, '벗어나야 해'는 대책이 없더라. 사실 이 노래를 신파파도 그렇게 썩 만족스럽게 불러준 건 아니었지만, 기동파파에 비하면야;
- 근촤의 노래가 몇 군데 달라지기도 했고, 참 넘버 소화력, 가창력은 쩔어주지만, 나에게 감동을 주지는 못해서 왜 그럴까 했는데, 내가 생각하는 모촤와는 달라서 그런 거 같다. 내가 생각하는 모차르트는 경박하고, 푼수지만, 천재이고, 음악 외에는 모든 면에서 독립하지 못한 의존적인 인간인데다, 대인관계가 순수하다 못해 백치에 가깝고, 빛과 어둠이 강렬하게 대비되는 이중성을 간직한 캐릭터. 그런데 근촤는 충분히 홀로 설 수 있는 독립적인 인간으로 보이더라. 그리고 모든 면에서 너무 진지하다고 할까. 그런 면에서 호촤가 나하고 맞는 것 같은데, 심각한 자아도취에 난 천재~ 라는 자신감이 뿜어져 나와서 그게 똘끼로 이어지다가도, 사람들이 자신을 사랑해주지 않으면 의기소침해지고 나약해지는 여린 자아. 그런데 근촤는 그렇게 되기엔 너무 진지하고 또 강인하다. 진지하게 분노하고, 화를 내며, 너희가 날 무시해!! 복수하겠어!!! 라는 장미송을 듣다 보면 어쩐지 모차르트보다는 베토벤이 떠오를 뿐이고. 콜로레도의 박대를 견디다 못해 자유 선언을 할 때도 저건 혁명가로구만 했다.
- 이날이 두 번째 태을 살리였는데, 지난 공연 보다, 나는 이날 공연이 더 마음에 들었다. 사실 노래는 살짝 삑이 나오기도 했지만, 노래에 실린 감정이 지난 공연보다 훨씬 설득력 있게 다가와, 가뜩이나 근촤에 이입이 어려운 것도 있어서, 참 내 평생에 모차르트가 주인공인 극을 살리에리에 이입해서 해석하게 되는 날이 오다니 싶었다. 하지만 태을 살리는 진짜 어찌나 귀족적이고 우아하고 자존심이 다락 같으신지. 내가 원래 저렇게 긍지 높은 인간이 처음으로 벽에 부딪혀 패배하며 좌절하는 걸 또 좋아하다 보니;
모촤에 대한 집중을 잃고 자연스레 2막은 살리에리 오페라 락이 되버렸는데, '고통스러운 즐거움' 전에 후궁으로부터의 유괴를 감독하러 나왔다가 경박한 모차르트의 모습에 음악을 듣지도 않고 넌 글렀다고 평하는 걸 보면서, 다른 때 같으면 사람 겉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되지 했을 텐데, 이날은 그래 저게 일반적인 반응이지, 이제 막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한 신인 음악가가 궁정에서 받은 일에 저렇게 나태한 모습을 보인 것만으로도 해고감이다, 첫인상이 얼마나 중요한데...이랬다는;
사실 살리에리의 비중이나 줄거리가 '아마데우스'와 비슷해서 착각할 수 있지만, 모오락의 살리에리는 '아마데우스'의 살리에리와는 다르다. 모차르트의 음악적 재능을 질투하고, 자신에게 재능이 없다는 사실에 좌절하는 거까지는 같지만, 모오락의 살리에리는 모차르트를 죽음으로 밀어 넣지는 않는다. 그의 성공을 훼방 놓을 뿐. 그리고 '아마데우스'의 살리에리가 대적하는 건 결국 '신'이지 모차르트가 아니다. '신'의 사랑을 받은 모차르트를 파멸시키는 것으로 신에 대한 복수를 하는 것이지.
이걸 깨달은 것이 '악의 교향곡'인데, 태을 살리가 '악의 교향곡'에서 보여주는 감정은 모차르트에 대한 시기나 질투보다는 다분히 자기 파괴적인 쪽에 가깝다. 천재 앞에서 한없이 작아지는 열등감 때문에 자살을 시도하지만, 미수에 그치고, 선택받은 자를 저주하며 악의 교향곡에 영혼을 바치겠다고 선언하는데,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그의 음악에 잠식당해 자신이 죽을 것 같으니 치는 방어선이랄까, 몸부림치는 걸로 보이더라. 모차르트를 만나기 전에는 패배감, 열등감이라는 감정과는 연이 없었던 살리에리에게 이것은 큰 충격이고, 그 탓에 자신의 인생관이 송두리째 뒤바뀌는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 이게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 곡이 '승리의 희생양'인데, 살리에리라는 캐릭터가 얼마나 자긍심 높은 인물이었는지 보여준다. 이런 살리에리였기에 죽어가는 모차르트를 마지막으로 찾아갈 용기를 낼 수 있었을 테지.
극의 마지막 '후회없이 살리라'도 지난 공연보다는 이날 공연에서의 화음이 더 아름답게 어울려서 참 좋더라.
+ 커튼콜을 보면서 모오락과 모차르트! 에 각기 등장하지 않는 인물들이 어쩐지 비슷한 포지션인 게 또 재미있었다. 아르코 백작과 로젠베르크 백작이라던가, 디바 누님과 황금별 여사님처럼.
일 시 : 2012. 03. 30 ~ 2012. 04. 29
장 소 :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관극일 : 2012. 04. 18 (수) 20:00
연 출 : 김재성, 음악감독 : 서유진
캐스트 : 모차르트 - 박한근, 살리에리 - 강태을, 콘스탄체 - 이해리, 알로이지아 - 최유하, 레오폴트 - 이기동, 난넬 - 홍륜희, 디바 - 허진아, 세실리아 - 최현선, 안나 마리아 - 장이주, 로젠베르크 - 성열석, 베버/요제프2세 - 장원령
- 사실은 이날 공연이 내 첫 모오락이 될 공연이었는데, 계획이란 소용없어~(feat.은케니)
- 지난 2번의 공연에서 레오폴트만 새로운 캐스트였는데, 이기동 씨의 레오폴트(이후 기동파파)는 일단 신파파에 비해서 진짜 평범하고 소시민이라는 느낌이 확 들었다. 신파파는 일단 비주얼에서 사기캐에 가까운 것도 있고, 그 흰머리 블리치가 어찌나 매력적이신지. '불가능을 생각해' 넘버에서 느껴지는 감정이 신파파가 콜로레도의 횡포에 분노를 느끼는 거라면, 기동파파는 좌절하고 있더라. 그래서 그런가 목소리에 힘이 하나도 없으셔서 난넬 목소리밖에 안 들리는 참사가; 그래서 이거 원래 난넬이 메인인 곡인가? 했다. 그런데다가 대사를 할 때도 기동파파는 상사 앞에서 비굴해지고, 자식 걱정에 노심초사하지만, 그 진심이 자식에게 전달되지는 않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런 불쌍한 아버지를 연기하고 있어서, 카리스마 넘치는 신파파와는 참 많이 대조되었다. 신파파가 권위적인 아버지라면 기동파파는 세파에 찌들어 너무 지쳐버린 아버지.
그리고 무엇보다 기동파파는 록넘버가 전혀 안 되시더라. OTL 신성우 씨가 전직(?) 록커 출신이라 레오폴트 넘버를 그래도 예상했던 것보다는 꽤 잘 소화를 해낸 것에 비하면, 그래도 뮤지컬 배우이신데, 어찌 그리 박자 감이 없으신가요; 가창력이 떨어지는 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록 비트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시는 듯. 어디서 치고 들어가야 하는지, 어디다 강세를 둬야 하는지 이런 게 안되니까 노래가 너무 밋밋해져 버렸다. 그나마 '불가능을 생각해'는 난넬이 커버해주지만, '벗어나야 해'는 대책이 없더라. 사실 이 노래를 신파파도 그렇게 썩 만족스럽게 불러준 건 아니었지만, 기동파파에 비하면야;
- 근촤의 노래가 몇 군데 달라지기도 했고, 참 넘버 소화력, 가창력은 쩔어주지만, 나에게 감동을 주지는 못해서 왜 그럴까 했는데, 내가 생각하는 모촤와는 달라서 그런 거 같다. 내가 생각하는 모차르트는 경박하고, 푼수지만, 천재이고, 음악 외에는 모든 면에서 독립하지 못한 의존적인 인간인데다, 대인관계가 순수하다 못해 백치에 가깝고, 빛과 어둠이 강렬하게 대비되는 이중성을 간직한 캐릭터. 그런데 근촤는 충분히 홀로 설 수 있는 독립적인 인간으로 보이더라. 그리고 모든 면에서 너무 진지하다고 할까. 그런 면에서 호촤가 나하고 맞는 것 같은데, 심각한 자아도취에 난 천재~ 라는 자신감이 뿜어져 나와서 그게 똘끼로 이어지다가도, 사람들이 자신을 사랑해주지 않으면 의기소침해지고 나약해지는 여린 자아. 그런데 근촤는 그렇게 되기엔 너무 진지하고 또 강인하다. 진지하게 분노하고, 화를 내며, 너희가 날 무시해!! 복수하겠어!!! 라는 장미송을 듣다 보면 어쩐지 모차르트보다는 베토벤이 떠오를 뿐이고. 콜로레도의 박대를 견디다 못해 자유 선언을 할 때도 저건 혁명가로구만 했다.
- 이날이 두 번째 태을 살리였는데, 지난 공연 보다, 나는 이날 공연이 더 마음에 들었다. 사실 노래는 살짝 삑이 나오기도 했지만, 노래에 실린 감정이 지난 공연보다 훨씬 설득력 있게 다가와, 가뜩이나 근촤에 이입이 어려운 것도 있어서, 참 내 평생에 모차르트가 주인공인 극을 살리에리에 이입해서 해석하게 되는 날이 오다니 싶었다. 하지만 태을 살리는 진짜 어찌나 귀족적이고 우아하고 자존심이 다락 같으신지. 내가 원래 저렇게 긍지 높은 인간이 처음으로 벽에 부딪혀 패배하며 좌절하는 걸 또 좋아하다 보니;
모촤에 대한 집중을 잃고 자연스레 2막은 살리에리 오페라 락이 되버렸는데, '고통스러운 즐거움' 전에 후궁으로부터의 유괴를 감독하러 나왔다가 경박한 모차르트의 모습에 음악을 듣지도 않고 넌 글렀다고 평하는 걸 보면서, 다른 때 같으면 사람 겉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되지 했을 텐데, 이날은 그래 저게 일반적인 반응이지, 이제 막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한 신인 음악가가 궁정에서 받은 일에 저렇게 나태한 모습을 보인 것만으로도 해고감이다, 첫인상이 얼마나 중요한데...이랬다는;
사실 살리에리의 비중이나 줄거리가 '아마데우스'와 비슷해서 착각할 수 있지만, 모오락의 살리에리는 '아마데우스'의 살리에리와는 다르다. 모차르트의 음악적 재능을 질투하고, 자신에게 재능이 없다는 사실에 좌절하는 거까지는 같지만, 모오락의 살리에리는 모차르트를 죽음으로 밀어 넣지는 않는다. 그의 성공을 훼방 놓을 뿐. 그리고 '아마데우스'의 살리에리가 대적하는 건 결국 '신'이지 모차르트가 아니다. '신'의 사랑을 받은 모차르트를 파멸시키는 것으로 신에 대한 복수를 하는 것이지.
이걸 깨달은 것이 '악의 교향곡'인데, 태을 살리가 '악의 교향곡'에서 보여주는 감정은 모차르트에 대한 시기나 질투보다는 다분히 자기 파괴적인 쪽에 가깝다. 천재 앞에서 한없이 작아지는 열등감 때문에 자살을 시도하지만, 미수에 그치고, 선택받은 자를 저주하며 악의 교향곡에 영혼을 바치겠다고 선언하는데,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그의 음악에 잠식당해 자신이 죽을 것 같으니 치는 방어선이랄까, 몸부림치는 걸로 보이더라. 모차르트를 만나기 전에는 패배감, 열등감이라는 감정과는 연이 없었던 살리에리에게 이것은 큰 충격이고, 그 탓에 자신의 인생관이 송두리째 뒤바뀌는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 이게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 곡이 '승리의 희생양'인데, 살리에리라는 캐릭터가 얼마나 자긍심 높은 인물이었는지 보여준다. 이런 살리에리였기에 죽어가는 모차르트를 마지막으로 찾아갈 용기를 낼 수 있었을 테지.
극의 마지막 '후회없이 살리라'도 지난 공연보다는 이날 공연에서의 화음이 더 아름답게 어울려서 참 좋더라.
+ 커튼콜을 보면서 모오락과 모차르트! 에 각기 등장하지 않는 인물들이 어쩐지 비슷한 포지션인 게 또 재미있었다. 아르코 백작과 로젠베르크 백작이라던가, 디바 누님과 황금별 여사님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