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곤의 선물
일 시 : 2014. 09. 18 ~ 2014. 10. 05
장 소 :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관극일 : 2014. 09. 27 (토) 15:00
연 출 : 구태환, 원작 : 피터 셰퍼
캐스트 : 에드워드 담슨 - 김태훈, 헬렌 담슨 - 김소희, 필립 담슨 - 김신기, 쟈비스 - 고인배, 담신스키 - 이봉규 외
줄거리 :
‘우상들’, ‘특권’ 등 탁월한 희곡을 남긴 천재 극작가 에드워드 담슨은 48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테러리즘에 대한 강박관념이 드러난 마지만 작품 < IRE >의 엄청난 파문과 실패 이후, 두 번째 아내이자 평생의 동반자였던 헬렌과 그리스에서 은둔생활을 하던 그가 변사체로 발견된 것이다. 몇 달간 슬픔에 잠겨있던 헬렌은 어느 날 편지를 받는다. 28세의 젊은 연극 교수인 필립 담슨의 편지였다.
그는 에드워드의 첫 번째 결혼에서 얻은 아들로, 아버지의 전기를 쓰겠다고 헬렌에게 만나줄 것을 간곡하게 부탁한다. 헬렌은 그의 청을 거절하지만, 그는 막무가내로 그녀의 집을 찾아온다. 헬렌은 필립에게 꼭 전기를 쓸 것이라는 맹세를 듣고 나서야 에드워드와의 지난날의 엄청난 얘기를 들려주기 시작하는데... [출처 > 플레이DB]
- 2012년 명동예술극장에 올렸을 때 보고 그야말로 충격에 빠져서 김소희 씨를 찬양하며 나왔던 그 연극 '고곤의 선물'이 다시 돌아왔다. 이번엔 에드워드 담슨 역에 두 명의 배우를 더블 캐스팅하고, 극장도 명동예술극장에서 세종M씨어터로 바뀌었다.
우선 극장 얘기를 해보면, 세종M은 명동에 비하면 구조자체가 좀 산만하다고 할지, 중앙으로 집중이 되지 않는다고할지. 게다가 천정에 매달린 조명들이 너무 빤히 시선에 들어오는 것도 그렇더라. 고곤의 선물에서 조명이 화려하지는 않아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서 더 눈에 띄었다. 그리고 이날 관극은 거의 재앙수준의 테러를 여러번 당해서 내 집중력이 깨진 것도 한 몫했거든. -_-+ 제발 연극이 지루해 죽겠으면 버티고 앉아서 하품, 혼잣말, 한숨 쉬지 말고, 그냥 퇴장하라고!!! 핸드폰 벨소리는 왜 꼭 중요한 장면, 적막 속에 터져나오는 건지 ㅠ.ㅠ
- 극이 가진 힘 자체는 달라진 게 없는데, 집중할 수 없는 분위기 속에 내 감상은 그저 미묘~ 뭐 무대 위 배우들도 그런 산만함 속에 무대에서 집중하는 것도 큰일이었겠다 싶은 생각은 들었지만. 김태훈 씨의 에드워드 담슨은 불분명한 딕션과 때때로 지나치게 과장된 연기만 빼면 꽤 좋았다. 피터 셰퍼의 연극은 어마무시한 대사량과 더불어 현학적이고 일상적이지 않은 어휘 사용이 많아서 대본을 외우는 것만으로도 고생했겠다 싶은데, 그걸 제대로 전달해주지 않으면 안그래도 어려운 내용을 관객이 어떻게 이해하겠는가. 그러니 발성과 딕션은 신경 좀 써주시길.
아, 발구르기 춤은 안무가 바뀐 건지 정말 좋았다. 확실하게 그게 춤으로 보였으니까. 정체모를 움직임으로 그 장면에서 웃음이 터져나오게 하던 2012년 버전에 비하면야 굉장한 발전.
- 김소희 씨의 헬렌 담슨은 여전히 좋았는데, 이날 목상태가 썩 좋지는 않으셔서 듣는데 아슬아슬하더라. 주인공도 더블인 마당에 사실상의 주인공이나 다름없는 역할을 원캐로 소화하고 계신데, 힘에 부치시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된다.
전에 봤을 땐 그런 생각이 들지 않았는데, 헬렌이 마지막으로 쓴 페르세우스와 아테나 여신의 장면을 보면서 아, 이게 헬렌의 발구르기 춤이구나 하는 게 느껴졌다. 필립은 이게 당신의 발구르기 춤이 되겠지요, 라고 미래 예상을 했지만, 헬렌은 사실상 이미 에드워드에게 발구르기 춤을 춘 거나 마찬가지다. 그리고 더 끔찍한 건 에드워드의 발구르기 춤은 그때부터 시작이며, 결코 끝나는 법이 없을 거라는 것.
- 한계를 뛰어넘는 짓, 결코 용서를 받을 수 없는 행위라는 게 있어!! 라던 에드워드의 외침에 설득당한다. 헬렌이 그들보다 나은 인간임을 증명하라고 작은 목소리로 속삭인다. 작지만 확실하게, 사라지지 않는 목소리로.
일 시 : 2014. 09. 18 ~ 2014. 10. 05
장 소 :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관극일 : 2014. 09. 27 (토) 15:00
연 출 : 구태환, 원작 : 피터 셰퍼
캐스트 : 에드워드 담슨 - 김태훈, 헬렌 담슨 - 김소희, 필립 담슨 - 김신기, 쟈비스 - 고인배, 담신스키 - 이봉규 외
줄거리 :
‘우상들’, ‘특권’ 등 탁월한 희곡을 남긴 천재 극작가 에드워드 담슨은 48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테러리즘에 대한 강박관념이 드러난 마지만 작품 < IRE >의 엄청난 파문과 실패 이후, 두 번째 아내이자 평생의 동반자였던 헬렌과 그리스에서 은둔생활을 하던 그가 변사체로 발견된 것이다. 몇 달간 슬픔에 잠겨있던 헬렌은 어느 날 편지를 받는다. 28세의 젊은 연극 교수인 필립 담슨의 편지였다.
그는 에드워드의 첫 번째 결혼에서 얻은 아들로, 아버지의 전기를 쓰겠다고 헬렌에게 만나줄 것을 간곡하게 부탁한다. 헬렌은 그의 청을 거절하지만, 그는 막무가내로 그녀의 집을 찾아온다. 헬렌은 필립에게 꼭 전기를 쓸 것이라는 맹세를 듣고 나서야 에드워드와의 지난날의 엄청난 얘기를 들려주기 시작하는데... [출처 > 플레이DB]
- 2012년 명동예술극장에 올렸을 때 보고 그야말로 충격에 빠져서 김소희 씨를 찬양하며 나왔던 그 연극 '고곤의 선물'이 다시 돌아왔다. 이번엔 에드워드 담슨 역에 두 명의 배우를 더블 캐스팅하고, 극장도 명동예술극장에서 세종M씨어터로 바뀌었다.
우선 극장 얘기를 해보면, 세종M은 명동에 비하면 구조자체가 좀 산만하다고 할지, 중앙으로 집중이 되지 않는다고할지. 게다가 천정에 매달린 조명들이 너무 빤히 시선에 들어오는 것도 그렇더라. 고곤의 선물에서 조명이 화려하지는 않아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서 더 눈에 띄었다. 그리고 이날 관극은 거의 재앙수준의 테러를 여러번 당해서 내 집중력이 깨진 것도 한 몫했거든. -_-+ 제발 연극이 지루해 죽겠으면 버티고 앉아서 하품, 혼잣말, 한숨 쉬지 말고, 그냥 퇴장하라고!!! 핸드폰 벨소리는 왜 꼭 중요한 장면, 적막 속에 터져나오는 건지 ㅠ.ㅠ
- 극이 가진 힘 자체는 달라진 게 없는데, 집중할 수 없는 분위기 속에 내 감상은 그저 미묘~ 뭐 무대 위 배우들도 그런 산만함 속에 무대에서 집중하는 것도 큰일이었겠다 싶은 생각은 들었지만. 김태훈 씨의 에드워드 담슨은 불분명한 딕션과 때때로 지나치게 과장된 연기만 빼면 꽤 좋았다. 피터 셰퍼의 연극은 어마무시한 대사량과 더불어 현학적이고 일상적이지 않은 어휘 사용이 많아서 대본을 외우는 것만으로도 고생했겠다 싶은데, 그걸 제대로 전달해주지 않으면 안그래도 어려운 내용을 관객이 어떻게 이해하겠는가. 그러니 발성과 딕션은 신경 좀 써주시길.
아, 발구르기 춤은 안무가 바뀐 건지 정말 좋았다. 확실하게 그게 춤으로 보였으니까. 정체모를 움직임으로 그 장면에서 웃음이 터져나오게 하던 2012년 버전에 비하면야 굉장한 발전.
- 김소희 씨의 헬렌 담슨은 여전히 좋았는데, 이날 목상태가 썩 좋지는 않으셔서 듣는데 아슬아슬하더라. 주인공도 더블인 마당에 사실상의 주인공이나 다름없는 역할을 원캐로 소화하고 계신데, 힘에 부치시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된다.
전에 봤을 땐 그런 생각이 들지 않았는데, 헬렌이 마지막으로 쓴 페르세우스와 아테나 여신의 장면을 보면서 아, 이게 헬렌의 발구르기 춤이구나 하는 게 느껴졌다. 필립은 이게 당신의 발구르기 춤이 되겠지요, 라고 미래 예상을 했지만, 헬렌은 사실상 이미 에드워드에게 발구르기 춤을 춘 거나 마찬가지다. 그리고 더 끔찍한 건 에드워드의 발구르기 춤은 그때부터 시작이며, 결코 끝나는 법이 없을 거라는 것.
- 한계를 뛰어넘는 짓, 결코 용서를 받을 수 없는 행위라는 게 있어!! 라던 에드워드의 외침에 설득당한다. 헬렌이 그들보다 나은 인간임을 증명하라고 작은 목소리로 속삭인다. 작지만 확실하게, 사라지지 않는 목소리로.